2008. 02.02 - 03 8.5km(15시간-러셀로 평상시의 2.5배의 시간소요) 마등령에서
34. 미시령-마등령-비선대 2008. 02. 02~03(일) 걸은시간-17시간 30분(어프로치, 산행, 휴식 포함) 바람 없고 맑음
좋은사람들 (다음카페 동호회 회원) 김경희 신오균 최옥수 새물내 안재출 오렌지 엘리스 이종민 권오극 최경옥 함기선 류상호 산좋아 주상규 윤현식 사과향기 조은산 이 솔 조말희 자연애 이원묵 적토마 풍류객 버 들 라스트 김재성 이혜숙 향기 행복우리 지설사랑 평강 안토니아 김영자 백운해3 꺽 지 나해용 가을국화3(41) | |
02:50 출발(미시령) 05:45 울산바위 갈림길 08:21 삼각점 1318.8봉 10:36 황철봉 12:01 저항령 15:00 삼각점 1249봉 17:15 마등령 17:50 마등령 3거리 20:20 소공원 |
지도- 1/25,000(신선) 1/50,000 (설악) 배낭 38리터, gps, 나침반, 헤드램프, 식사(보온물병에 갈비탕, 보온밥통, 김치) 1끼 보온물병 1, 감귤, 카메라1, 구급약 1, 스틱 2, 여분 건전지, 고어상의, n2s, 폴라텍, 바라크라바 타이즈, 덕다운, 장갑, 체인젠, 스팻치, |
출발하기 2~3일 전에 설악산과 신배령 부근에서 눈으로 인한 조난사고가 연이어 나와서, 현지에 확인해보니 오세암에 1m, 미시령휴게소에서는 85cm의 적설이라고 합니다. 지난 설악산 한계령-마등령 산행 이후 한차례 적설이 있었는데 기상청의 자료로는 속초에 10cm정도로 기재되어 있었지만 실제로 산마루에는 많은 양의 적설이 내린 것 같았어요.
속초기상대에 물어보니 관측기의 설치가 한정되어 있고 그 외에 많은 요인으로 인하여 산마루의 적설을 정확하게 나타낼 수는 없다는 것이 현실이랍니다.
미시령 오기 전에 본 오래전에 작성된 겨울산행기에서는 영하 21도와 강풍의 날씨에 날아갈까봐 너덜의 바위 뒤에 숨었다가 그 바람이 잠잠해진 다음 한 번씩 진행하는 등 이 구간의 살벌함을 익힌 터라 은근히 걱정이었습니다. 하지만 그때도 무릎정도까지 눈이 쌓였지만 워낙 날씨가 추워서 눈이 얼어버려 진행하기는 수월했었다는군요.
사당에서 출발한 버스에서 졸다 깬 휴게소가 홍천휴게소입니다. 이 고개는 신당고개라고 불리는데 오대산 두로봉에서 두물머리(양수리)까지 달리는 한강기맥에 속합니다. 이 지점에서 동쪽은 홍천, 서쪽은 양평이지요. 그리고 한 숨 더 자고 깬 미시령 주차장에는 쌓아놓은 눈이 내 키보다 큰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날씨는 마치 봄인 양 바람도 잠잠하고 하늘엔 별이 총총합니다.
속초의 야경을 구경하고 산으로 듭니다. 나대장님과 꺽지대장이 눈을 헤치며 오르는데 북사면에 해당하는 첫 번째 오름에는 허리이상 높이의 눈이 쌓였어요. 러셀을 하는 것을 보니 공동작업은 아닙니다. 제일 선두에 선 사람만이 러셀을 하는 작업으로 생각되는군요. 그리고 그 뒤에서는 다짐만으로 진행을 하게 되구요. 그러므로 러셀은 선두를 교대해줌으로써 그 작업이 진행되는 나눔의 작업입니다. 이번 산행에서 러셀에 참가하신 많은 산님들에게 고마움을 전합니다. 1040봉(울산바위 갈림봉) 오름길에 뒤돌아보니 진부령으로 향하는 산님들의 헤드램프 불빛이 별처럼 움직입니다. 우리도 몇 구간 후에 저들처럼 별이 되어 오르리라고 생각하니 세월이 잠깐이군요.
예상대로 울산바위 갈림봉 부근은 지형이 평평해서 그냥 지나치기 십상이군요. 울산바위 갈림 대간길은 거의 오른쪽 직각방향으로 꺽입니다. 여기까지 1.4km. 2시간 55분. | |
| |
1040봉에서 내려와 안부에서 올라 다시 1040m 고도 정도 산등성이에서 선두를 선 분들이 길이 보이질 않는다고 하는군요. 왼쪽도 절벽이요, 정면도 넘어가기 만만하지 않고 몇 분 산님들이 오른쪽으로도 돌아가 보지만 길이 보이질 않아요. 어두움도 어두움이지만 길을 덮은 눈때문에 그 길 위로 다니던 산님들의 흔적을 알아볼 수 없음이 더 큰 이유겠지요. 나대장님이 힘을 써서 길을 냈어요. 나무가 얼기설기 쌓여있는 곳을 밟고 지납니다. 그리곤 다시 완만한 길이 나오는데 전방엔 많은 바위들이 무작위로 쌓여있는 본격적인 너덜의 시작이에요. 그 한 쪽엔 넷상의 산행기에서 본 노란 야광봉이 산봉우리로 이어져 있어요.
| |
|